앱 다운로드 받기
구글 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애플 앱스토어 이미지

구글, 애플 앱스토어에서
서울거래 비상장을 검색해 주세요.

4월 2일(수)

주간 리포트

  • 야놀자 2025. 3. 31

    "야놀자, 작년 영업이익 1782% '폭증'… 492억원 흑자 달성"

    야놀자는 2024년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본격적인 글로벌 트래블 테크 기업으로 도약했습니다.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22% 증가한 9245억원, 조정 EBITDA는 1147억원으로 6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492억원으로 1782% 급증했습니다. 수익성 지표인 EBITDA 마진율도 12%로 개선되어 높은 수익성을 입증했습니다.

    주요 성장 동력은 호텔·항공사 등 글로벌 여행 기업에 운영 시스템과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부문이었습니다. 이 부문은 매출 2926억원(62% 증가), 영업이익 576억원(454% 증가)을 기록했고, AI 기반 데이터 솔루션 매출 비중도 빠르게 늘며 새로운 수익원으로 부상했습니다. 야놀자는 200여 개국에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강력한 유통망과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국내 숙박·레저 중심의 '컨슈머 플랫폼' 사업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매출은 6712억원(6% 증가), 영업이익은 620억원(39% 증가)을 기록했으며, 대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조정 EBITDA 마진율은 13% 이상을 유지했습니다. 또한 새로운 여행 경험 플랫폼 '놀유니버스' 출범으로 사업 다각화에도 나섰습니다.

    주목할 만한 지표는 ‘글로벌 통합거래액’으로, 2024년 27조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86% 증가했습니다. 이는 야놀자가 단순한 숙박 예약 플랫폼을 넘어, 글로벌 여행 데이터를 활용한 AI 맞춤형 서비스 제공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야놀자는 향후 AI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시장 확장에 집중하며, 데이터 기반 트래블 테크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야놀자, 작년 영업이익 1782% '폭증'… 492억원 흑자 달성"

    야놀자는 2024년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본격적인 글로벌 트래블 테크 기업으로 도약했습니다.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22% 증가한 9245억원, 조정 EBITDA는 1147억원으로 6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492억원으로 1782% 급증했습니다. 수익성 지표인 EBITDA 마진율도 12%로 개선되어 높은 수익성을 입증했습니다.

    주요 성장 동력은 호텔·항공사 등 글로벌 여행 기업에 운영 시스템과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부문이었습니다. 이 부문은 매출 2926억원(62% 증가), 영업이익 576억원(454% 증가)을 기록했고, AI 기반 데이터 솔루션 매출 비중도 빠르게 늘며 새로운 수익원으로 부상했습니다. 야놀자는 200여 개국에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강력한 유통망과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국내 숙박·레저 중심의 '컨슈머 플랫폼' 사업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매출은 6712억원(6% 증가), 영업이익은 620억원(39% 증가)을 기록했으며, 대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조정 EBITDA 마진율은 13% 이상을 유지했습니다. 또한 새로운 여행 경험 플랫폼 '놀유니버스' 출범으로 사업 다각화에도 나섰습니다.

    주목할 만한 지표는 ‘글로벌 통합거래액’으로, 2024년 27조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86% 증가했습니다. 이는 야놀자가 단순한 숙박 예약 플랫폼을 넘어, 글로벌 여행 데이터를 활용한 AI 맞춤형 서비스 제공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야놀자는 향후 AI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시장 확장에 집중하며, 데이터 기반 트래블 테크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 무신사 2025. 3. 31

    "무신사, 작년 매출 첫 1조대 돌파…영업익 흑자전환"

    무신사는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1조2427억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25.1% 증가한 수치로, 영업이익 1028억원, 당기순이익 698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연간 거래액은 4조5000억원, EBITDA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195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수익 구조를 보면 수수료 매출이 4851억원으로 24.3% 증가했으며, 상품 매출과 제품 매출은 각각 15%, 29.9% 증가했습니다. 별도 기준 매출도 1조1005억원으로 24.6% 늘었으며,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의 성장과 카테고리 확장, 오프라인 및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가 실적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특히 무신사 스탠다드는 2024년에만 14개 신규 매장을 열어 연간 120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했으며, 오프라인 매출은 전년 대비 3.3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또한 임직원 주식보상비용이 전년 대비 60.8% 줄어든 159억원으로 감소하며 일회성 비용이 축소되었습니다.

    무신사는 2025년에도 테크 인프라 및 인재 확보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K패션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물류 서비스 강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박준모 대표는 AI 기반 큐레이션 기술의 성과가 본격화되고 있다며, 오프라인과 글로벌 시장에서 K패션 브랜드의 경쟁력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습니다.

    "무신사, 작년 매출 첫 1조대 돌파…영업익 흑자전환"

    무신사는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1조2427억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25.1% 증가한 수치로, 영업이익 1028억원, 당기순이익 698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연간 거래액은 4조5000억원, EBITDA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195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수익 구조를 보면 수수료 매출이 4851억원으로 24.3% 증가했으며, 상품 매출과 제품 매출은 각각 15%, 29.9% 증가했습니다. 별도 기준 매출도 1조1005억원으로 24.6% 늘었으며,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의 성장과 카테고리 확장, 오프라인 및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가 실적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특히 무신사 스탠다드는 2024년에만 14개 신규 매장을 열어 연간 120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했으며, 오프라인 매출은 전년 대비 3.3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또한 임직원 주식보상비용이 전년 대비 60.8% 줄어든 159억원으로 감소하며 일회성 비용이 축소되었습니다.

    무신사는 2025년에도 테크 인프라 및 인재 확보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K패션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물류 서비스 강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박준모 대표는 AI 기반 큐레이션 기술의 성과가 본격화되고 있다며, 오프라인과 글로벌 시장에서 K패션 브랜드의 경쟁력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습니다.

  • 당근마켓 2025. 3. 31

    "SBVA 또 한번 '당근' 베팅…2.7조 밸류 구주 매입 나선다"

    벤처캐피탈 SBVA가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마켓의 구주 매입에 나섭니다. 이는 올해 1월 첫 투자분을 회수한 지 두 달 만으로, 당근마켓이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한 점이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SBVA는 2018년부터 당근마켓에 세 차례 투자한 바 있으며, 이번이 네 번째 투자로, 카카오벤처스가 보유한 지분을 매입할 예정입니다.

    이번 거래에서 당근마켓의 기업가치는 약 2조7000억원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과거 시리즈D 투자 당시 가치보다 10% 낮지만, 기관투자자 간 구주 거래 평균 할인율을 감안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SBVA는 펀드 만기로 청산한 1차 투자 외에도 2·3차 투자분은 계속 보유 중이며, 실적과 성장성을 고려해 추가 투자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당근마켓의 실적도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별도 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1891억원, 영업이익은 3.8배 증가한 376억원을 기록하며 2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특히 고도화된 로컬 타게팅 광고가 실적을 견인했으며, 중고차 경매, 농수산물 커머스, 안전결제 등 중개 사업 부문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당근마켓이 국내 플랫폼 중 드물게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증명하고 있으며, 캐나다·일본 등 해외 사업에서도 긍정적인 지표를 보이고 있어 향후 성장이 기대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SBVA 또 한번 '당근' 베팅…2.7조 밸류 구주 매입 나선다"

    벤처캐피탈 SBVA가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마켓의 구주 매입에 나섭니다. 이는 올해 1월 첫 투자분을 회수한 지 두 달 만으로, 당근마켓이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한 점이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SBVA는 2018년부터 당근마켓에 세 차례 투자한 바 있으며, 이번이 네 번째 투자로, 카카오벤처스가 보유한 지분을 매입할 예정입니다.

    이번 거래에서 당근마켓의 기업가치는 약 2조7000억원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과거 시리즈D 투자 당시 가치보다 10% 낮지만, 기관투자자 간 구주 거래 평균 할인율을 감안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SBVA는 펀드 만기로 청산한 1차 투자 외에도 2·3차 투자분은 계속 보유 중이며, 실적과 성장성을 고려해 추가 투자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당근마켓의 실적도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별도 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1891억원, 영업이익은 3.8배 증가한 376억원을 기록하며 2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특히 고도화된 로컬 타게팅 광고가 실적을 견인했으며, 중고차 경매, 농수산물 커머스, 안전결제 등 중개 사업 부문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당근마켓이 국내 플랫폼 중 드물게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증명하고 있으며, 캐나다·일본 등 해외 사업에서도 긍정적인 지표를 보이고 있어 향후 성장이 기대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 오아시스 2025. 3. 25

    "오아시스, 아임닭 조건부 인수…실적따라 보통주 10배 옵션"

    오아시스가 닭가슴살 브랜드 '아임닭'을 운영하는 와이즈유엑스글로벌의 RCPS 20만8000주를 약 50억원에 인수하며 조건부 경영권 인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해당 RCPS는 와이즈유엑스글로벌이 올해와 내년 평균 영업이익 10억원을 달성할 경우 보통주 10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전환이 완료되면 오아시스는 지분율 50.98%로 최대주주가 됩니다.

    와이즈유엑스글로벌의 실적 악화로 인해 투자 회수가 지연되면서 이번 매각이 추진된 것으로 보이며, 2023년 매출액은 410억원, 영업손실은 1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투자자인 한국투자파트너스가 거래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오아시스와 와이즈유엑스글로벌 간의 유통 시너지를 고려한 전략적 인수로 평가됩니다.

    오아시스는 기존의 새벽배송 플랫폼을 운영하는 유통회사로서, 와이즈유엑스글로벌과의 협업을 통해 매출과 수익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 오아시스는 최근 티몬 인수도 발표하며 적극적인 사업 확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오아시스, 아임닭 조건부 인수…실적따라 보통주 10배 옵션"

    오아시스가 닭가슴살 브랜드 '아임닭'을 운영하는 와이즈유엑스글로벌의 RCPS 20만8000주를 약 50억원에 인수하며 조건부 경영권 인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해당 RCPS는 와이즈유엑스글로벌이 올해와 내년 평균 영업이익 10억원을 달성할 경우 보통주 10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전환이 완료되면 오아시스는 지분율 50.98%로 최대주주가 됩니다.

    와이즈유엑스글로벌의 실적 악화로 인해 투자 회수가 지연되면서 이번 매각이 추진된 것으로 보이며, 2023년 매출액은 410억원, 영업손실은 1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투자자인 한국투자파트너스가 거래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오아시스와 와이즈유엑스글로벌 간의 유통 시너지를 고려한 전략적 인수로 평가됩니다.

    오아시스는 기존의 새벽배송 플랫폼을 운영하는 유통회사로서, 와이즈유엑스글로벌과의 협업을 통해 매출과 수익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 오아시스는 최근 티몬 인수도 발표하며 적극적인 사업 확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투자 전 알아야 할 기업의 모든 것

비상장 포스트

더보기
비상장 포스트 이미지

서울거래 비상장이 제안하는 5가지 투자 원칙

원칙에 맞는 투자로 이익은 높이고, 위험은 낮추고!

자세히보기
자주 묻는 질문 더보기